우리나라의 아름다운 궁궐 중 하나인 창덕궁에는 반도지(半島池)라는 예쁜 연못과 함께 연못의 풍경을 잘 관람할 수 있도록 부채꼴 모양으로 설계된 관람정(觀纜亭)이라는 정자가 있다.
그런데, 관람정의 모습은 실제로 위 그림의 부채꼴 그림처럼 중심이 같은 부채꼴을 겹쳐 그려서 만들어진 모양일까? 어쩌면 아예 다른 모양은 아닐까? 아래 지오지브라를 이용해서 한번 확인해보자. [br]
국가유산포털에서 "창덕궁"을 검색하면 창덕궁에 대한 다양한 자료가 존재하는데, 이중에는 [도면]도 있다. https://www.heritage.go.kr/heri/cul/culSelectDetail.do?pageNo=1_1_1_1&ccbaCpno=1331101220000[br][br]2001년에 보수공사가 이루어진 관람정은 이때 만들어진 여러가지 평면도가 존재한다. 그중 정자에서 천장을 바라보고 그린 "앙시도"를 보면 새로운 것을 볼 수 있다. [br]
각의 크기나 길이는 조금 다르지만 정사각형과 직각이등변삼각형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음을 엿볼 수 있다.[br][br]또한 관람정 지붕의 용마루를 지지하기 위해 세운 곡선 모양 서까래도 새로이 보인다. 이 호는 정사각형 ACDF 의 중점을 지나는 것을 볼 수 있다. [br][br]다른 평면도에 그린 그림을 이용해 관람정의 기둥의 위치 및 호의 중심의 위치를 탐색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. [br]그림1과 그림2의 도형을 모두 합친 뒤 [b][접선][/b]을 이용하였다. [br]
접선과 서까래가 이루는 각의 크기에서 볼 수 있듯이, 우리 조상들은 서까래들을 연결하는 전통방식의 [b]결구법[/b]을 그대로 이용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. 전통 건축물에서는 45도, 60도, 90도 등으로 연결되는 결구법을 사용하였다. [br]특히 놀라운 것은 접점 A에서 보이듯, 직각이등변삼각형, 정사각형의 배치에서 60도에 가까운 접선이 만들어짐을 알고 있었다는 점이다. [br][br][br]따라서 아래와 같은[b] 순서로 설계[/b]하였을 듯 하다. [br][br]① 정사각형, 직각이등변삼각형의 꼭짓점의 위치에 기둥 A, B, C, D, E, F을 잡는다.[br]② 선분 CD의 중점 G와 선분CD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다른 꼭짓점 H을 찾는다.[br]③ 선분 AC의 중점 I와 선분DF의 중점 J를 찾는다.[br]④ 점 G를 중심으로 하고 점 B, A, F, E를 지나는 호를 그린다.[br]⑤ 점 H를 중심으로 하고 점 C, D를 지나는 호를 그린다.[br]⑥ 점 H를 중심으로 하고 점 I, J를 지나는 호를 그린다.[br]
[출처][br]1. 지역N문화, "연못에서 뱃놀이를 구경하는 정자, 창덕궁 관람정, [Online]. Available: [br] [url=https://ncms.nculture.org/pavilion/story/2390?jsi=#none]https://ncms.nculture.org/pavilion/story/2390?jsi=#none[/url][br][br]2. 국가유산포털, "창덕궁", [Online], Available:[br] https://www.heritage.go.kr/heri/cul/culSelectDetail.do?pageNo=1_1_1_1&ccbaCpno=1331101220000[br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