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전 학습 과정에서 [math]a_{n+1}=a_n^2+c[/math]와 같이 정의된 수열 [math]\left\{a_n\right\}[/math]에 대하여 [math](n, a_n)[/math]을 꺾은선 그래프로 나타내어 각 항의 값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았다. 이번 학습에서는 수열 [math]\left\{ a_n\right\}[/math]의 각 항의 값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을 알아보자.[br][br]아래 지오지브라 애플릿에서 주어진 도구(이동, 점, 교점, 선분, 직선, 수직선)만을 이용하여 각 항의 값을 계산하지 않고, 점 [math]\left(a_n,a_{n+1}\right)[/math]을 찾아보자. (단, [math]n=1,2,3,\cdots[/math]이고, 점 [math]\left(a_1,0\right)[/math]은 [math]x[/math]축 위에 있다.)[br][br]각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[br][list][*][b]이동[/b] [icon]/images/ggb/toolbar/mode_move.png[/icon] 도구로 대상 또는 화면을 드래그하여 위치를 바꿀 수 있다.[/*][*][b]점[/b] [icon]/images/ggb/toolbar/mode_point.png[/icon] 도구를 이용하여 기하창의 빈 곳이나 선분, 직선, 다각형 등의 대상 위에 점을 만들 수 있다.[/*][*][b]교점[/b] [icon]https://www.geogebra.org/images/ggb/toolbar/mode_intersect.png[/icon] 도구를 이용하여 두 대상을 선택하면 가능한 모든 교점이 만들어진다. 두 대상의 교점을 직접 클릭하면 한 교점만 만들어진다.[/*][*][b]선분[/b] [icon]/images/ggb/toolbar/mode_segment.png[/icon] 도구, [b]직선[/b] [icon]/images/ggb/toolbar/mode_join.png[/icon] 도구를 이용하여 두 점을 선택하면 두 점을 연결한 선분 또는 직선이 만들어진다.[/*][*][b]수직선[/b] [icon]https://www.geogebra.org/images/ggb/toolbar/mode_orthogonal.png[/icon] 도구를 이용하여 점과 직선을 선택하면 선택한 점을 지나고 선택한 직선에 수직인 직선이 만들어진다.[/*][/list]